"타이어도 자동차처럼 색이 다양하면 안 될까?"
자동차 튜닝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보셨을 텐데요.
하지만 타이어가 검은색인 데는 다 이유가 있답니다!
까만 운명을 타고난 타이어 출생의 비밀,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D
[출처] 넥센타이어 블로그
알록달록 꾸미고 싶은 타이어, 도대체 왜 '검은색'일까?
타이어, 왜 ‘검은색’일까?
자동차 타이어의 주재료는 말랑말랑한 고무입니다.
고무는 기본적으로 잘 늘어나는 성질이 있는데요.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하며 달려야 하는 타이어가 고무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특성상 자동차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망가지거나 마찰열에 의해 쉽게 파손될 거에요.
이러한 고무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타이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 첨가물을 넣게 되는데요.
그중 반드시 필요한 첨가물인 카본블랙이 타이어의 색상을 좌우하게 되는 것이랍니다.
‘카본블랙’은 무엇일까?
카본블랙은 석유를 정제한 뒤 찌꺼기를 연소시켜 만들어낸 미세한 탄소 분말로 타이어 외에도 다른 고무 제품의 충전제로 많이 사용되는데요.
타이어의 내열성, 내마모성, 강성, 내노화성 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이어가 달릴 수 있는 힘의 원천이라고 볼 수 있어요.
실제로 고무에 카본블랙을 첨가하면 강도가 약 10배 정도 세진다고 하니, 그 힘이 엄청나죠?
타이어의 색상을 좌우하는 ‘카본블랙’!
타이어에 빠질 수 없는 카본블랙의 기능에 대해서는 알겠지만, 타이어의 색상을 좌우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궁금증을 가지고 계실 텐데요.
카본블랙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검은색을 띠고 있어요.
특히 검정 잉크와 페인트 등의 흑색 안료로 사용될 만큼 진한 검은색을 가지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타이어에 카본블랙을 첨가하면 자연스럽게 검은색이 되는 것인데요.
카본블랙의 함량이 높을수록 타이어의 강도도 높아진다고 해요.
즉, 검은색이 진할수록 타이어의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죠.
타이어, 색을 입힐 수는 없을까?
모터쇼나 자동차 전시회에 가보면 간혹 화려한 색상의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실제로 모터쇼에 다녀온 뒤로 주행용 차량에 컬러 타이어를 장착하고 싶어 이리저리 찾아보신 분들도 계실 거에요.
하지만 실제로 구매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죠.
그 이유는 바로 드라이브에 적합한 타이어가 아닌 전시용 타이어로 특별히 제작된 타이어이기 때문이에요.
다시 말해 타이어로서 주행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것이죠.
타이어에 카본블랙 대신 실리카를 사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 컬러의 타이어를 만들 수는 있어요.
실리카는 유리, 화장품, 약품에 첨가하기도 하고 종이와 고무의 충전제로도 쓰이는데요.
타이어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는 충전제이기도 해요.
하지만 제조과정이 굉장히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카본블랙에 비해 단가가 많이 높아 아직 대중화되지 않고 있답니다.
시간이 흐르고 실리카 제조가 보다 값싸지면 일반 차량에도 다양한 색상의 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날이 오겠죠?
'♣ 주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심할 수 없는 자동차 화재, 차량용 소화기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0) | 2021.05.19 |
---|---|
공기압 체크, 왜 중요할까요? 공기압에 따라 바뀌는 타이어 성능! (0) | 2021.05.05 |
타이어의 역사 알아보기! (0) | 2021.04.21 |
자동차가 물고기처럼 흔들린다면? '피시테일 현상'! (0) | 2021.04.14 |
자동차 엔진이 보내는 경고음, ‘노킹 현상’! (0) | 2021.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