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많이 사용하고 계시죠? 하이패스는 별도의 현금이 필요 없는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장치,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라고도 하는데요. 전용 단말기와 하이패스 카드로 전용 도로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기에 참 편리합니다. 또한, 하이패스는 통행 요금을 내기 위해 따로 대기하는 시간이 없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고마운 방법이기도 합니다.
하이패스에 대해 평소 궁금한 점이 있었다면 오늘 넥센타이어가 알려드리는 정보를 잘 읽어보세요.
하이패스, 어떻게 사용할까?

하이패스를 위해서는 전용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통신 방식에 따라 RF(주파수 방식)와 IR(적외선 방식)로 나뉘는데요. 주파수 방식은 설치하는 데 제약이 없어 매립해둘 수 있지만, 전력 소모량이 많고, 적외선 방식은 수신 범위가 낮아 차량 앞 유리에 설치해야 하지만 전력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하이패스 단말기는 온·오프라인으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요금소에서도 구매할 수 있으나, 판매 여부는 마리 체크해야 합니다. 구매 직후 오프라인에서는 판매매장에서 차량 번호, 차주 명을 넣어 등록해주지만 온라인에서는 사이트(https://www.e-hipassplus.co.kr)를 통해 직접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외국인일 경우, 외국인 등록증 또는 국내 거소증이 있어야 구매 및 등록이 가능하니 꼭 확인해주세요!
하이패스 단말기에 장착하는 카드는 요금 결제 방식에 따라 선불식 카드, 후불식 카드, 자동 충전식 카드 3가지로 구분되는데요. 선불식은 말 그대로 미리 일정 금액을 충전해 두고 그만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후불식 카드는 신용카드와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사용한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결제하면 됩니다. 자동 충전식 카드는 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가 되면 미리 연결해 놓은 계좌에서 이체되는 방식으로 연회비 및 최초 발급 비용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이패스, 할인 혜택은?

출퇴근 시간에는 하이패스 통행료도 할인이 됩니다.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는 구간의 진·출입 거리 기준이 20km 미만일 경우, 평일 5시~7시, 20시~22시엔 통행료 50%, 평일 7시~9시, 18시~20시엔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소형 사업용 화물차의 경우엔 심야 할인이 적용되는데요. 별도로 신청을 해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폐쇄식(21시~6시), 개방식(23시~5시)으로 나누어져 있으니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용 비율에 따라 20%~50%의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출퇴근 할인과 중복 적용은 불가합니다.
또한 전기차나 수소차는 무려 50%가 할인된다고 하니 전기, 수소자동차를 소유하고 계신다면 전용 하이패스 단말기를 꼭 구매하세요!
하이패스 이용 시, 난감할 땐 어떻게?

#1. 하이패스 전원이 꺼져 있는데, 이미 하이패스 차로에 진입했다면?
무리하게 차선을 변경하거나 급정지를 하게 되면 위험할 수 있으니 일단은 통과하세요. 주행 후, 출구 톨게이트에서 일반 차로로 이동한 후, 요금소 직원에게 설명과 함께 하이패스 카드로 정산하면 됩니다.
#2.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데, 하이패스 전용 차로에 들어왔다면?
하이패스 미부착 차량이라는 경고문구와 경보음이 울리게 될 텐데요, 이때 당황하지 마시고 주행 후, 출구 톨게이트의 요금소 직원이 있는 곳으로 가서 상황을 설명한 후, 직원의 안내에 따르면 됩니다.
#3. 출구 톨게이트에서 하이패스 단말기의 오류가 났다면?
톨게이트 영업소 사무실을 직접 방문하거나 하이패스 콜센터(1588-2504)에 문의해 직원의 안내를 따르면 되는데요. 만약 개인 사정 때문에 바로 처리가 힘들다면, 차량 주소지로 발송된 고지서나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미납요금을 조회한 후 계좌이체로 내셔도 됩니다. 하지만 단말기나 카드의 오류로 진입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최장 거리 요금을 내야 할 가능성도 있으니 꼭 알아두세요!
2018년부터 도입 중인 ‘다차로 하이패스’란?

대부분의 고속도로 하이패스 전용 차로는 3~3.5m의 좁은 폭으로, 안전운행을 위해 속도를 시속 30Km/h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저속 주행이 강제되어 교통정체나 추돌사고 발생이 잦았는데요. 이에 따라 국토부에서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에 맞춰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를 시작으로 ‘다차로 하이패스’를 순차적으로 도입했습니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각 차로 사이에 있는 경계석을 없애 도로 폭을 넓혀 통과 제한 속도가 80Km/h 이하로 상향 조정된 시스템인데요. 2차로 이상으로 확대함으로써 본선과 같은 속도로 주행이 가능해진 것이 특징입니다. 급정거로 인한 과속차량 사고위험도 줄이고 교통정체도 개선되어 더욱 안전하고 편하게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하이패스 카드부터 자주 묻는 Q&A까지, 하이패스의 모든 것!|넥센타이어
'♣ 주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상식] 타이어 구조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 | 2022.02.16 |
---|---|
안전 보조 장치 에어백, 얼마나 알고 계세요? (0) | 2022.02.09 |
타이어 측면 표기, 전격 파악하기! (0) | 2022.01.26 |
펑크를 막는 신기술! (0) | 2022.01.19 |
눈길 안전운전 요령을 알려드립니다~ (0) | 2022.01.12 |
댓글